본문 바로가기

빅데이터 교육과정 (2021-01-25 ~ 2021-06-24)/WEB (02-22 ~)

Javascript 웹 API란? + 지도 API 쓰는 법 (카카오 지도 API)

API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위키백과)." 이 설명은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의 API 의미입니다. 보통 웹에서의 API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게 전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키백과는 웹 API를 아래와 같이 따로 정의해 놓았습니다.

Web API란?

"웹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다른 서비스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기 위해 정의된 명세를 일컫는다(위키백과)." 그러면 웹API의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이버 지도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약도를 넣는다.

2. 기상청 날씨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날씨를 넣고 싶다.

3. 네이버 가격비교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가격비교 정보를 넣고 싶다.

4. 페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사이트에 콘텐츠를 공유하고 싶다.

5. 구글 웹로그분석 API를 이용해 쇼핑몰 관리자에 대시보드를 넣고 싶다.

6. 쇼핑몰에 동영상 등록시 자동으로 유투브에도 발행하고 싶다.

7. 마이피플을 사용하는 고객과 1:1 상담을 진행하고 싶다.

8.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버튼을 넣고 싶다.

몇 가지만 나열했지만, 내가 이걸 다 써볼 수나 있을까 싶을 정도로 굉장히 많은 API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Javascript | 웹에 지도 띄워보기 feat. 카카오 지도 API 

카카오 지도 API 가져오기

먼저 다음 페이지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https://developers.kakao.com/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 아래 페이지가 나오면 지도/로컬 탭으로 접속한다.
(바로가기 : https://developers.kakao.com/product/map )

접속한 후 맨 밑 페이지로 내려 'API 사용하기'의 '시작하기' 로 접속해
'새 애플리케이션 추가' 를 누른다.

그 후 제작할 앱 아이콘 설정, 앱 이름 설정, 사업자명 설정을 한 후 저장을 누른다.

  • 앱 아이콘 : 앱의 정체성을 나타낸 이미지
  • 앱 이름 : 제작할 애플리케이션 이름 (ex. DIY Map)
  • 사업자명 : 표시할 사업자(회사) 이름 (ex. Sullivan Project)

저장을 완료 하면 새로 만든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추가된다.

새로 만든 애플리케이션 (위 사진에선 DIY_Map) 을 클릭 하면 아래의 정보들이 뜬다.


(키는 앱 마다 다 다르므로 자신의 키만 확인하면 된다.)

기본 정보를 확인했으면 아래 주소에 접속한다.

https://apis.map.kakao.com/web/

위 화면 왼쪽에 보면 몇몇 탭들이 있다.

  • Guide : 사용 가이드
  • Sample : 예제 소개
  • Docs : API 사용법 소개
  • Wizard : 코드 자동 생성 마법사
  • News : 공지사항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Sample에 나와있는 예제 중 하나인 "지도 생성하기"로 기본 지도를 띄워보자.

VS Code를 실행하고 File > Open > 프로젝트폴더이름 을 눌러 프로젝트를 열고
'views/index.ejs' 파일을 수정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 title %></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sheets/style.css' /> </head> <body> <!-- 지도를 표시할 div 입니다 --> <div id="map" style="width:100%;height:380px;"></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발급받은api키"></script> <script> const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mapOption = { center: new kakao.maps.LatLng(33.450701, 126.570667),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3 // 지도의 확대 레벨 }; // 지도를 표시할 div와 지도 옵션으로 지도를 생성합니다 const map = new kakao.maps.Map(mapContainer, mapOption); </script> </body> </html>

위 코드로 수정한 후 터미널에

npm start

를 실행하고 http://localhost:포트번호 에 접속하면 정상적인 지도가 출력된다.
(포트 번호는 bin/www 파일에서 확인 가능)

출처1 : m.blog.naver.com/dktmrorl/221675195656
출처2 : velog.io/@juneverbena/Javascript-%EC%9B%B9%EC%97%90-%EC%A7%80%EB%8F%84-%EB%9D%84%EC%9B%8C%EB%B3%B4%EA%B8%B0-feat.-%EC%B9%B4%EC%B9%B4%EC%98%A4-%EC%A7%80%EB%8F%84-API-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