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위키백과)." 이 설명은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의 API 의미입니다. 보통 웹에서의 API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게 전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키백과는 웹 API를 아래와 같이 따로 정의해 놓았습니다.
Web API란?
"웹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다른 서비스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기 위해 정의된 명세를 일컫는다(위키백과)." 그러면 웹API의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이버 지도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약도를 넣는다.
2. 기상청 날씨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날씨를 넣고 싶다.
3. 네이버 가격비교 API를 이용해 내 쇼핑몰에 가격비교 정보를 넣고 싶다.
4. 페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사이트에 콘텐츠를 공유하고 싶다.
5. 구글 웹로그분석 API를 이용해 쇼핑몰 관리자에 대시보드를 넣고 싶다.
6. 쇼핑몰에 동영상 등록시 자동으로 유투브에도 발행하고 싶다.
7. 마이피플을 사용하는 고객과 1:1 상담을 진행하고 싶다.
8.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버튼을 넣고 싶다.
몇 가지만 나열했지만, 내가 이걸 다 써볼 수나 있을까 싶을 정도로 굉장히 많은 API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VS Code를 실행하고 File > Open > 프로젝트폴더이름 을 눌러 프로젝트를 열고 'views/index.ejs' 파일을 수정한다.
<!DOCTYPE html><html><head><title><%= title %></title><linkrel='stylesheet'href='/stylesheets/style.css'/></head><body><!-- 지도를 표시할 div 입니다 --><divid="map"style="width:100%;height:380px;"></div><scripttype="text/javascript"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발급받은api키"></script><script>const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지도를 표시할 div mapOption ={ center:newkakao.maps.LatLng(33.450701,126.570667),// 지도의 중심좌표 level:3// 지도의 확대 레벨};// 지도를 표시할 div와 지도 옵션으로 지도를 생성합니다const map =newkakao.maps.Map(mapContainer, mapOption);</script></body></html>